What a beautiful world!
세상이 조금이라도 더 나은 방향으로 가기를 기대하면서

독서

인간, 사회적 동물 - 엘리어트 에런슨 I

thinknew 2016. 7. 15. 17:36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설파한 이후 사람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사실에 의구심을 표현한 경우는 없었다. 그리고 그에 관해 무수히 많은 논의가 철학이라는 이름 하에 진행되었다. 그러나 그 논의는 2000년 이상 원점을 맴돌고 있었을 뿐이다. 오히려 심리학이 과학의 영역으로 들어오면서 사회의 구성원인 개인들의 심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신경생리학이 사회성을 위한 뇌의 모듈을 밝혀내면서 이 명제는 명쾌하게 규명되었다.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사회심리학에 관한 교과서에 해당하는 책을 여기 소개한다.

저자는 무엇보다도 먼저 사회심리학이 아주 최근에 성립한 학문임을 언급한다.

"사회심리학이 나이 어린 과학이라고 선언하는 것은 우리의 연구가 아직 어떤 중요한, 쓸모있는, 혹은 사회 현상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말할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과 비슷하다."
"위에 제시된 내용의 키워드는 사회적 영향social influence이다. 이것이 바로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의 정의라 할 수 있다. 사회심리학은 사람들이 타인의 신념이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저자는 사회심리학이 규명한 사실들이 우리가 오랜 경험에 의해 알고 있는 사실들이 근거가 있음을 확인한다.
"때로는 과학적 연구 결과도 많은 사람들이 옳은 것으로 '알고' 있는 것과 동일하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관습적으로 내려오는 지혜는 오랜 세월의 검증을 견디어낸 세심한 관찰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심리학이라는 이름 하에 거론할 수 있는 수 많은 내용들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포스트에 대략적으로나마 요약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저자가 나누어 놓은 범주에 따라 요약을 나누었다. 먼저 [동조]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조conformity란 '어떤 특정인이나 집단으로부터 실제적이거나 가상적 압력을 받아서 자기 자신의 행동이나 의견을 바꾸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집단압력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경우 편도체가 엄청나게 많이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뇌의 이 영역은 고통과 정서적 불편함과 연계된 영역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집단에 반대하는 것이 상당히 고통스럽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은 개인주의가 팽배한 사회(미국이나 프랑스)보다는 집단주의가 팽배한 사회(노르웨이, 중국, 일본)에서 동조가 좀 더 많음을 밝혀냈다. 또한 비록 작은 차이지만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동조한다는 일관된 성차가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가 남성이거나 과제가 남성 지향적일 때에 성차가 최고로 커진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레온 패스팅거Leon Festinger에 따르면, 물리적 현실이 점차 불확실해질 수록 사람들은 '사회적 현실'에 더욱 의존하게 된다는 것이다."
"동조라는 단순한 용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사회적 영향에 대한 세 가지 반응인 순종, 동일시, 그리고 내재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순종compliance은 보상을 얻고 처벌을 피하려는 욕구에서 동기화된 사람의 행동을 설명할 때 가장 적절하다. 사람이 하는 행동은 흔히 보상의 약속이나 처벌의 위협이 존재하는 동안에만 지속된다."
"동일시identification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과 같아지고 싶다는 욕망 때문에 나타나는 사회적 영향에 대한 반응이다."
"특정 가치나 신념의 내재화internalization란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가장 지속적이고 매우 뿌리 깊은 반응이다. 어떤 특정한 신념을 내재화하려는 동기는 올바르게 되려는 욕구이다. 그 신념에 대한 보상은 내면적인 것이다."
"우리는 타인을 해치라고 하는 압력에 저항하기도 어렵지만 나아가서 타인을 도와줄 기회가 주어진다 해도 도와주는 행동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희생자가 도움을 받을 가능성은 보는 사람이 많을수록 적어진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존재는 돕기 행동을 방해한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이러한 현상을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라고 부른다."